인삼의 독성에 관해서 역대의 한방학자들은 무독해서 장기적으로 연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상약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재열, 남기열, 김시관 등 1984 : Toshihiro Fujibayashi, 1997)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고혈압증에는 인삼을 기피하는 경향이며, 특히 수축기 혈압이 180mmHg 이상의 경우, 인삼복용을 금하고 있다, 또한 땀이 나지 않고 배변이 불편하고 열이 많은 실열증이나 감기나 염증 등으로 인한 고열이 있을 때는 복용을 금하고 있다(흑기 준미 등, 1994; 이상인, 안덕균 등, 1993; 육창수 등 1992)
인삼의 부작용의 증상으로는사람에 따라 발열, 코피, 호흡이 거칠어지고, 피부발진과 가벼운 위장증상 등이 보고되었고(이상인, 안덕균 등,1993; 흑기 준미, 굴월 용,1994; 육창수 등 1992), 두통, 불면, 동계(가슴 두근거림), 혈압상승의 경우도 있는데 사용을 중지하면 이러한 증상은 소실된다고 보고되고 있다(이상인, 안덕균 등1993; 흑기 준미, 굴월 용1994).
한방의학의 한 주류인 사상의학에서는사상인, 즉 태양인,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 중에서 주로 비위(비위)의 소화기계 기능이 선천적으로 약한 소음인의 체질에 가장 적합하며, 이외의 체질에서는 경우에 따라 소양증(가려움증), 피부반점 등의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한다(이상인 1992). 그러나 한방처방에 사용하고 있는 인삼이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대부분 백삼인 점을 고려하면 제조방법이 다른 홍삼에 대해서는 다를 수도 있다.
한방의학의 한 주류인 사상의학에서는사상인, 즉 태양인,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 중에서 주로 비위(비위)의 소화기계 기능이 선천적으로 약한 소음인의 체질에 가장 적합하며, 이외의 체질에서는 경우에 따라 소양증(가려움증), 피부반점 등의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한다(이상인 1992). 그러나 한방처방에 사용하고 있는 인삼이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대부분 백삼인 점을 고려하면 제조방법이 다른 홍삼에 대해서는 다를 수도 있다.
30세 전후의 건강인 188명(남자 107명, 여자 81명)을 사상체질별로 분류(소음인, 소양인, 태음인)하고 , 각각을 홍삼군(130명)과 위약군(58명)으로 구분하여홍삼군은 정관장 홍삼분말을 1일 3g/일씩 4주간 투여하고, 위약군에는 동량의 옥수수 전분을 투여하여 임상증상과 이화학적 검사(양방 및 한방 검사)를 실시하였다. 임상적 유효성으로는 신체적· 정신적 피로도, 우울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사상체질별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자각적 불편한 증상으로는 상열감, 소화불량, 가슴답답, 안면홍조,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부작용이 나타나 복용을 중단한 사례는 총 대상자 188명 중 11명이었으나, 홍삼군(6.2%)과 위약군간(5.2%)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홍삼복용에 의한 부작용으로는 판단되지 않았다(송일병 등, 1998).
인삼의 중의학적 효능을 신뢰하는 중국, 대만, 홍콩 등에서는고려인삼은 약성이 강해서 고려인삼 복용시 코피가 나거나 체열을 상승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중요한 부작용의 사례로 들고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 발생은 한국사람과는 다른 식생활과 기후조건 및 사람의 체질적 차이에 기인한다고 중의학자들은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북경중· 일우호병원에서 고혈압환자(66명)를 포함한 정상인 20명 등 총 86명을 대상으로 1일 3g의 정관장 홍삼분말을 6주간 투여한 임상조사에서 평균적으로 혈압저하효과와 함께 고혈환자의 60%가 유효성이 있었고, 각종 임상적 자극증상의 개선효과도 확인되었으며, 기타 심각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고지혈증환자(79예)를 대상으로 정관장 홍삼분말의 임상실험결과에서도 유의할만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 Jin etal. 1997, 1998).
미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인삼제품의장기 복용자(133명) 중 약 10%가 고혈압, 도치감, 불면, 피부발진, 설사 등의 인삼의 남용 증상의 발생을 보였으며 장기 과량 복용(15g/일)은 피해야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Siegel R.K.1979) . 그러나 조사 대상자들이 복용한 인삼의 종류가 고려인삼(Panax ginseg)이외도 미국삼 또는 식물학적으로 인삼종(ginseng species)이 전혀 아닌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와 Rumex hymenosepalus 등으로 되어 있어 이들의 부작용이 고려인삼에 의한 부작용인지 아니면 투여용량과의 관계 혹은 적정한 품질관리가 된 인삼제품을 복용하였는지 등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가 되지 않아 진정한 인삼만의 부작용에 대한 것인지에 대한 반론도 제기된 바 있다( C. Norman Gillis,1997). 그리고 표준화된 인삼제품과 적정한 투여용량, 즉 인삼을 남용하지 않으면 이러한 부작용의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다(Siegel R.K.(1980).
인삼복용 후 심한 두통과 구토증세를 보이는 환자의 조사에서뇌동맥염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인삼의 알코올 추출물의 과다 복용(건조삼의 25g 상당량)과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사례보고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과량 복용이거나 그러한 부작용이 인삼 때문만인지, 어떤 형태의 인삼제품 인지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은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Ryu S. J. et al. 1995).
보고되는 인삼의 독성이나 부작용의 사례들의 경우,사용한 인삼제품에 대한 인삼함유 여부나 그 제조형태 및 품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부작용 보고에 대한 평가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실제로 해외 시장에서 인삼제품으로 표시되어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는 제품의 품질검사 결과, 몇몇 제품들은 전혀 ginsenoside가 검출되지 않은 가짜 인삼제품도 유통되고 있어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Cui J. et al. 1994). 본 자료는 고려인삼학회, 한국인삼공사 등에서 연구한 학술자료를 발취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금산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금산군홈페이지
금산군 계약정보공개
금산군가족센터 홈페이지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시설정보
금산군공무원노동조합 홈페이지
금산군립도서관 홈페이지
금산군의회 홈페이지
금산군청 홈페이지
금산다락원 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
금산문화의집 홈페이지
금산산림문화타운 홈페이지
금산시네마 홈페이지
금산역사문화박물관 홈페이지
금산인삼글로벌트레이드 홈페이지
금산인삼축제 홈페이지
금산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금산평생학습포털 홈페이지
금산홍보 통합 플랫폼
금홍 홈페이지
문화관광 통합 플랫폼
대형폐기물온라인신청 홈페이지
문화관광 홈페이지
산꽃마을 자연치유센터 홈페이지
열린군수실 홈페이지
금산인삼 통합 플랫폼
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
금산군 재정정보공개
청소년미래센터 홈페이지
추부문화의집 홈페이지
통계 홈페이지
실·과/직속기관/사업소
충남 시·군
유관기관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금산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장애인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