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은 진안고원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계절에 따른 기온차가 뚜렷하며 주위 지역에 비하여 서늘한 기후 조건과 고랭지대로서 30℃ 이상 기간이 30일이내, 인삼재배를 위한 산지를 개척, 초작지 재배가 많아 병충해가 적으며 타지역 대비 인삼사포닌 함량이 많은 것이 진안고원에서 나는 인삼 - 진안고원 특징이다.
지금부터 370여년전 용담군 주천면 대불리의 운장산 아래 신선이 되고자하는 도인이 거처를 정하고 선약채취와 심신수련으로 생을 보내던중 이상한 초근을 발견하여 그것을 재배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인삼이라 일컬어지고 전 군에 퍼졌다는 전설이 있다. 인삼이 진안군의 토산품으로 경작되었다는 기록은 《동국여지승람》이나 《진안군지》에도 없으나 지금은 연간 생산량 1천 3백 60톤 정도로 전국 생산량의 15%를 차지하며 전국 최대의 생산지가 되어 진안군의 특산물이 되었다. 진안의 인삼은 처음에 금산의 인접지역인 용담으로부터 그 재배가 확산되었는데 이는 금산삼업조합의 이용이 쉬웠기 때문이었다.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된 후에는 전라북도의 중점산업으로 육성되어 진안읍에 전북인삼조합이 설립되고 전라남북도를 관할하는 이 지방 인삼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인삼은 진안고원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계절에 따른 기온차가 뚜렷하며 주위 지역에 비하여 서늘한 기후 조건과 고랭지대로서 30℃ 이상 기간이 30일이내, 인삼재배를 위한 산지를 개척, 초작지 재배가 많아 병충해가 적으며 타지역 대비 인삼사포닌 함량이 많은 것이 진안고원에서 나는 인삼 - 진안고원 특징이다.
이곳에서 나는 인삼은 전국 인삼 생산량의 15%를 넘어 명실공히 전국 최대의 인삼 주산지가 되었다. 현재 경작면적은 1100ha(350여만평), 연간 생산량 1,800톤에 이른다. 금산과 인접한 용담면(칠은리)에서 시작되어 소규모로 재배하다가 1935년 진안 용담 인삼조합이 설립되면서 인근 주천, 정천, 안천면 지역으로 확대되면서 현재는 진안군 전역에서 두루 경작하고 있다. 주 재배지역은 마령면 평지리, 덕천리 등이다. 이웃 금산군과 비교하면 진안은 고산지대인 연유로 인삼재배용 개척지가 더욱 방대하여 인근 타지역 사람들이 들어와 경작하기도 한다. 장기간 深山에서 야생으로 재배하는 산양산삼(山養山蔘 산에서 자란 인삼, 일명 장뇌삼) 등의 특수한 인삼 형태와 다양한 인삼가공품을 볼 수 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금산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금산군홈페이지
금산군 계약정보공개
금산군가족센터 홈페이지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시설정보
금산군공무원노동조합 홈페이지
금산군립도서관 홈페이지
금산군의회 홈페이지
금산군청 홈페이지
금산다락원 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
금산문화의집 홈페이지
금산산림문화타운 홈페이지
금산시네마 홈페이지
금산역사문화박물관 홈페이지
금산인삼글로벌트레이드 홈페이지
금산인삼축제 홈페이지
금산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금산평생학습포털 홈페이지
금산홍보 통합 플랫폼
금홍 홈페이지
문화관광 통합 플랫폼
대형폐기물온라인신청 홈페이지
데이터포털 홈페이지
문화관광 홈페이지
산꽃마을 자연치유센터 홈페이지
열린군수실 홈페이지
금산인삼 통합 플랫폼
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
금산군 재정정보공개
청소년미래센터 홈페이지
추부문화의집 홈페이지
통계 홈페이지
부서/직속기관/사업소
충남 시·군
유관기관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금산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장애인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기타